육아 정보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비용과 기간 신청 방법은

라뷰로로 2025. 3. 7. 11:56
728x90
반응형

임신과 출산을 경험해 봤다면
정부지원 산후도우미에 대해
모르는 분들은 없을 것 같아요.
저도 두 아이 모두 서비스를
받아 봤거든요. 이는 출산 후
산모와 아기의 건강 관리를
돕기 위한 정책으로 조리원
퇴소 후 집에 왔을 때 대부분
신청하여 서비스를 받아요.

[ 정부지원 산후도우미란? ]


전문 교육과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건강관리사가 가정에
직접 방문하여 산모와 신생아를
케어하며 도움을 주는 정부지원
서비스예요. 개인 산후도우미와는
달리 지원이 되고 있어 비용적인
면에서 부담을 줄일 수 있기에
지원 대상에 속한다면 이용을
하는 것이 좋죠.


지원 대상으로는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이면 해당이 되는데요,
소득에 따라 지원 금액이 조금씩
달라져요. 만약 저소득층에 속하면
거의 무료로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는 것이죠. 만약 쌍둥이나 또는
장애가 있는 산모라면 추가 지원도
받을 수 있으니 확인해 보세요.

[ 비용은 ]


지원 금액은 소득에 따라 다르게
나오는데요, 소득이 적을수록
지원 금액이 높아져요. 즉 지원
금액이 크다면 본인 부담 금액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죠. 중위소득
100% 이하면 90% 지원, 120%
이하면 70% 지원 150% 이하면
50%% 지원이 되고 있어요.



만약 2주 정도 서비스를 진행한다
했을 때 총 금액이 100만 원이라고
한다면 중위소득 100% 이하일
경우 대략 10만원 정도 부담금
나오게 되는 것이죠.

[ 서비스 이용 기간 ]


내가 원하는 만큼 많이 할 수는
없어요. 정해진 일정 기간이
있는데요, 단태아 출산일 경우
10일에서 15일, 다태아의 경우
최대 25일, 장애가 있는 산모는
추가 연장도 가능해요. 만약 
초산모가 아닌 경산모라고 하면
지원 기간도 길어지니 꼭 확인
해보시기 바라요.

[ 신청 방법 ]


서비스 신청 방법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두가지 방법이 있어요.
둘 다 출산 전 40일 전부터 
시작해 출산 후 30일까지
신청할 수 있는데요, 온라인으로
진행할 경우 복지로 홈페이지나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해서
가입 후 서류 제출을 진행하면
돼요.



오프라인 신청으로 진행한다면
관할 보건소를 방문하여 신청서
작성 후 제출 하면 되는데요,
필요한 서류는 신분증과 산모수첩
사본 그리고 건강보험 관련 서류가
필요해요. 대부분 보건소에서 바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따로 준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있는데요,
방문 전 미리 전화하셔서 정확히
안내받아 보신다면 헛 걸음 하지
않아도 될거예요.

[ 지원 대상이라면 ]


출산을 앞두고 있고, 지원 대상에
속한다면 꼭 받아 보시라 말씀
드리고 싶어요. 저도 두 아이 
모두 출산 후 서비스 받았는데
첫 아이의 경우 혼자서 충분히
잘 해낼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미리 준비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막상 집에 와보니 처음 엄마가
되는 게 상상도 못 할 만큼 너무
힘들더라고요. 결국 하루 만에
신청해서 다음날 바로 서비스
진행했어요.



그리고 서비스 신청은 신청 가능한
기간이 있지만, 업체 선택은 미리
가능해요. 요즘은 좋은 업체 또는
좋은 관리사 분들 미리 예약하는
방식으로 많이 진행되던데, 
서비스받아 볼 의사가 있다면
업체에 미리 연락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거예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