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를 키우다 보면 정말 시간이
쏜살같이 지나가는 것 같아요.
어느새 걸어 다니고 어느새 나와
같은 음식을 먹고 이제는 기저귀를
떼야할 때가 오는데요, 과연 내
아기 배변훈련 언제부터 시작하면
좋을까요?
[ 시기보다는 아기 표현이 중요해요. ]
정해진 시기는 없어요. 즉 우리
아기가 보내는 표현을 정확하게
읽어주는 것이 좋은데요, 보통은
18개월에서 36개월 사이에 많이
시도를 해요. 저희 첫째도 24개월에
기저귀 떼기를 성공했고, 둘째도
이제 그 시기가 다가오고 있는데,
두 돌이 되었으니 무조건 해보자
하기보다는 기본적인 표현이나
불편한 불쾌함 또는 친근함을
모두 느끼고 표현할 줄 알아야
진행했을 때 부담을 덜 느낄 수
있어요.
[ 발달 상황에 맞춰 ]
모든 아기가 그 시기에 걷고
그 시기에 먹고 하는 것은
아니죠. 어느정도 평균이라는
수치만 존재할 뿐인데요, 그러면
우리 아이 언제쯤 해보는 게
좋을지 궁금하실 것 같아요.
먼저 신체적인 발달이 되어야
해요. 혼자 앉거나 설 수 있어야
하고, 완벽하진 않지만 혼자서
바지나 기저귀를 내릴 수 있어야
하죠. 그리고 방광이 어느정도
커져야 팬티를 입어도 참을 수
있는데요, 기저귀 입은 상태에서
2시간 내지 3시간 정도 뽀송한
상태가 유지 된다면 긍정적인
시그널이라 볼 수 있어요.
다음으로는 감각능력이에요.
소변과 대변을 기저귀에 하고
불편해서 벗으러 한다거나
대변을 볼 때 구석으로 가서
조용히 본다면 감각능력이
어느 정도 성장했다는 얘기예요.
세 번째는 언어발달인데요, 이거는
말로 확실하게 표현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불편함을
인지하고 몸짓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면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응가나 쉬를 했을 때 갈아달라
표현을 한다거나, 대변을 보고
엄마에게 가서 볼일을 봤다고
이야기한다거나, 그런 표현이
된다면 배변훈련을 시작해도
가능한 시기라 볼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는 인지발달이에요.
엄마나 아빠 혹은 형아나 누나가
화장실에서 볼일을 보는 걸 보고
관심을 가진다거나, 그 행동을
스스로 모방을 한다면 자연스럽게
배변훈련으로 연결시켜주어도
좋아요.
[ 첫 시작이기에 ]
우리 아이들도 처음으로 기저귀를
떼고 배변훈련 시작을 하는 것이라
항상 잘할 수는 없겠죠. 그렇기에
우리 엄마 아빠가 주의해야할 점이
있는데요, 훈련 시작 전에 미리
인지하고 있으면 진행하는 동안에
불필요한 실수를 줄일 수 있어요.
먼저 실수해도 절대 혼내지 마세요.
처음 해보는 일이기에 실수할 수
밖에 없어요. 그럼에도 꾸짖거나
나무라거나 혼내거나 화낸다면
아이들은 대변 소변 볼일을 보는
행위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길 수
있어요.
그리고 한 번 잘했다면 백번을
칭찬해 주세요. 한 걸음이 제일
어렵잖아요. 그 시작을 했다면
그것만큼 잘한 행동은 없기에
충분히 칭찬해 주셔야 해요.
마지막으로 배변훈련을 진행하는
순간 언제든 아기가 힘들어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억지로 끝까지
끌고 가려 하기보다는 잠깐은
쉬어갈 수 있어야 해요. 결과
보다는 과정에서 아이와의 충분한
교감과 교류를 해보세요. 이것도
성장함에 있어 멋있는 밑거름이
될 거예요.
[ 방법이 있다면 ]
배변훈련 시기는 어느정도 알아
봤는데요, 방법이 있다면 먼저
제시간에 변기에 앉혀 보세요.
자고 일어나서 변기에 앉히면
자연스럽게 쉬를 할 수 있어요.
그리고 하루 일과 중 어느 시간에
대변을 보는지 알고 있다면
그때 데리고 가 앉아서 볼일을
볼 수 있게끔 만들어주면 좋아요.
하지만 변기랑 화장실이랑 친하지
않은 아이라면 무작정 벗겨놓고
앉히기보다는 기저귀를 입은
상태에서 그 시간에 앉아 볼일을
보는 것이라 알려주는 것도 좋아요.
그때 같이 노래도 부르고 이야기도
하고 책도 읽어 본다면 아이들은
그 시간을 오히려 즐길 수 있게
돼요.
어느 정도 습관이랑 친숙함이
생겼다면 일상생활 자체에서
팬티를 입기 시작해요. 이때
기저귀가 삼격형 모양이니까
팬티는 사각으로 준비해주는게
좋아요. 가끔 같은 삼각이면
아이들이 기저귀와 팬티에서
혼란을 입기도 하더라고요.
첫 시작이 어렵고 힘들어요.
엄마 아빠도 그리고 아이도
그럴 수밖에 없죠. 하지만
충분히 잘 해낼 수 있을거라
믿고 도와준다면 우리 아이도
얼마든지 해낼 것이랍니다.
'육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통잠 시기와 리듬 형성 방법 (0) | 2025.03.10 |
---|---|
아동수당 부모급여 출산혜택 지원금 언제까지 얼마나 (2) | 2025.03.09 |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비용과 기간 신청 방법은 (2) | 2025.03.07 |
유치원 유아학비 전환 방법 사전신청 (0) | 2025.03.06 |
아기 애착유형 종류와 안정 애착 형성 방법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