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말을 시작하면서부터
폭발적으로 언어능력이 향상하게
돼요. 언어 소통에 문제 없이
성장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폭발적으로 언어가 늘때가 바로
아기 말더듬 시기라고 볼 수가
있어요. 하지만 상태에 따라서
지속 여부에 따라서 다른 시선으로
봐야 하는데요, 성장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문제인지,
개선과 치료가 필요한 상황인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 말더듬 ]
말더듬은 아이 어른 할 것 없이
생겨나는 증상 중 하나에요.
사람에 따라서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일상 대화 속에서도
흔히 나타나죠. 하지만 빈도수와
양상에 따라서 다른 시선으로
봐야 개선할 수가 있어요.
[ 증상 ]
아기 말더듬 시기에 가장 많이
보이는 증상은 음절 반복과
단어의 부정확한 발음이에요.
아직 말하는게 서툰 아이들의
경우 이런 문제는 비유창성이라
보고 있죠. 하지만 간혹 나타나는
문제가 아닌 빈도수가 많다면
병적인 말더듬이라고 볼 수가
있는데요,
구분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말을 더듬는 현상이 있다 없다
한다면 비유창성이고, 매 순간
나타난다면 말더듬이라고 볼 수
있겠어요. 비유창성이라면 대부분
수개월 반복 후 점차 좋아지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말더듬일
경우에는 일상 생활에 다양한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른의 개입이 필요할 수 있죠.
[ 아기 말더듬 원인은 ]
아기 말더듬이 발생하는 원인은
정말 다양해요. 유전적일 수도
있고, 발달이나 환경적 또는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아기 말더듬은 3세 이전에
언어 습득이 가장 많은 시기에
나타나는데요,
5세에서 8세 사이에 이러한 증상이
발현 된다면 만성적 말더듬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요, 의사소통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 생겨날 수
있고, 그로 인해 말을 하지 않는 등
다른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에
주의가 필요해요.
[ 개선 방법은 ]
30개월부터 36개월 사이가
아기 말더듬 시기라고 볼 수
있는데요, 언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때이기에 무작정
병원으로 달려가기 보다는
아이의 상태를 먼저 살피고
편안하게 말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해 주는 것이
좋아요.
필요에 의하면 의료적 개입이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치료가
목적인 질환은 아니기 때문에
부모가 더욱 관심을 가지고
많은 사람을 쏟아주며 심리적
불편과 불안함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해주고, 급하게 말하기
보다는 천천히 편안하게 상황을
표현할 수 있도록 표현력을
늘려주는 것도 개선 방법이라고
볼 수가 있어요.
아기 말더듬의 경우 정해진 해결
방법은 없어요. 만약 상태에 따라
걱정이 된다면 센터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우리 아이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도, 그런
아이를 잘 키워낼 수 있는 사람도
부모니까요. 부모의 관심과 사랑만큼
좋은 치료제가 또 있을까요?
'육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열경련 대처와 예방 (0) | 2025.02.14 |
---|---|
아기 접촉성 피부염의 모든것 (2) | 2025.02.14 |
아기 상순소대 찢어짐 총정리 (0) | 2025.02.12 |
아기 열감기 증상과 개선 방법 (0) | 2025.02.12 |
아기 노란 콧물 코막힘 원인과 관리방법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