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시기에는 모든 기관이 다
미성숙해서 별것 아닌 소리에도
엄마는 귀를 기울이게 되죠.
아기들은 숨 쉴 때 쎄근쎄근
거리며 귀에도 잘 들리지
않을 것만 같은데 실제로는
신생아 가래소리가 들려서
놀라기도 해요. 만약 감기에
걸린 것이 아니라면 후두연화증을
생각해 봐야하죠.
[ 신생아 가래소리 이유는 ]
신생아들은 신체 기능도 완전히
발달되지 않았지만, 기관지 역시
성숙하지 않은 시기에요. 그래서
숨 쉴때 가래소리가 동반되기도
하는데요, 감기에 걸렸다면 콧물이
목으로 넘어가면서 가래소리가
동반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아 후두연화증을
고려해 봐야 해요.
[ 후두연화증이란 ]
후두연화증이란 후두 상부 쪽
연골이 덜 발달하여 숨을 쉴 때
후두가 좁아지고 그래서 기도가
방해를 받아 발생하는 질병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어요. 성인은
근육 약화시 나타날 수 있는데요,
근육과 연관되어 있는 문제라
신생아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문제죠.
이때 감기랑은 조금 다른 소리가
들리는데, 코와 목 그 중간쯤에서
그르렁거리는 소리와 함께 흡기 시
꺽소리도 동반이 되기도 해요.
신생아 가래소리가 들린다고 해서
전부 후두연화증이라 볼 수 없죠.
만약 먹는것과 자는 것에 문제가
있다면 지켜보기 보다는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 후두연화증 특징은 ]
후두연화증이라면 엎드린 자세일 때
신생아 가래소리가 조금은 완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누운
자세일 때에는 소리가 더욱 증폭
되죠. 기도가 좁아지기 때문인데
이때는 완전히 눕혀 수유하기
보다는 살짝 앉은 자세를 유지해
주면서 수유하는게 좋아요.
[ 해소 방법은 ]
우선 신생아는 실내 온도와 습도에
많은 영향을 받아요. 그렇기에 평소
실내 적정 온도와 습도 유지를
해준다면 가래소리 완화에도 많은
도움이 되죠. 그리고 코딱지가
눈에 보인다면 제거해 주는 것이
좋고,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수유를 할 때 공기가 넘어가지
않게끔 살짝 앉은 자세로 수유를
하는 것이 좋아요.
[ 정해진 기간은 없어 ]
저희 둘째가 후두연화증이었어요.
물론 감기도 오랫동안 앓았지만
그와는 별개로 가래소리가 18개월
무렵까지 지속이 되었죠. 대부분
18개월을 기점으로 점차 좋아지는
양상을 보인다고 해요. 하지만
증상이 심각하거나 상태가 좋지
않으면 큰병원에 가셔서 정밀
검사를 진행해볼 수 있다고 하니
걱정된다면 기다리기보다는
검사받아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 볼 수 있어요.
20개월 현재 역시나 후두 쪽이
약한 편이라 여전히 감기 걸리면
후두염으로 바로 연결이 되는데
그래도 이제는 매일 함께 했던
가래소리가 감기 걸렸을 때 말고는
들리지 않아요. 아이마다 상태도
다르고 성장 발달도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어요. 그러니
컨디션이 좋고 밥도 잘 먹고
잠도 잘 잔다면 너무 큰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육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모세기관지염 입원과 통원치료 (0) | 2025.02.27 |
---|---|
제대혈 보관 문제로 고민이 된다면 (0) | 2025.02.26 |
자폐스펙트럼 개월수별 다른 증상과 특징 (0) | 2025.02.25 |
신생아 딤플 검사와 치료 (0) | 2025.02.24 |
아기 설소대 짧음 수술 해야하나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