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다 보면 다양한
문제들을 직면하게 되죠.
그중 성장 발달과 관련된
이야기는 눈에 되는 증상이
나타나도 일시적인 문제인지
치료를 받아야 하는 부분인지
헷갈릴 때가 많아요. 그중
오늘은 퇴행성 자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할게요.
[ 퇴행성 자폐란 ]
요즘은 넘처나는 정보 덕분에
미리 자폐에 대해 캐치하고
조기 치료를 받아볼 수 있는
사회예요. 자폐와 관련된
내용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그렇다 보니
별것 아닌 행동에도 상당히
걱정스럽기도 해요.
퇴행성 자폐는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린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데요,
이는 정상 발달을 하다가 어느 날
갑자기 문제 증상이 보이기에
쉽게 알아차릴 수있는 반면,
믿기 어려워 치료 시기를
놓쳐버리는 경우도 많아요.
대게 15개월에서 30개월 사이에
많이 보이는데요, 이때쯤에는
상호작용이나 언어 소통이
어느 정도 가능할 때인데
갑자기 이 모든 행동들을
하지 못하게 도면서 자폐
증상들이 동반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죠.
[ 증상은 ]
앞에서도 말씀을 드렸던 것처럼
그전에 했던 말이나 단어들을
전혀 하지도 못하고 이해하지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해요. 그리고
다른 사람을 보면서 눈 맞춤을
하고 웃음을 짓던 사회성이
떨어지게 되고, 의미없는 행동이나
소리를 내기도 하는데요, 제일 먼저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기기에
예전과 다르다는 느낌은 받을 수
있지만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 발생 원인은 ]
일반 자폐 스펙트럼은 유전적인
요인이 크다고 알려져 있지만,
퇴행성은 유전도 있는 반면에
환경적이나 면역학적 이유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나타나는
문제예요. 아이가 태어나 살아가는
환경도 주요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임신 중 산모의 건강 상태도 포함이
될 수 있고, 태어나 아이가 먹는
음식 역시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죠.
[ 노산의 영향은 ]
요즘은 결혼 시기도 늦어지고
그렇다 보니 출산하는 산모들의
나이도 점차 많아지고 있어요.
일정 나이가 지나면 노산이라
이야기하는데요, 그냥 나이가
많다는 걸 의미하는 정도가
아니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 많아질 수 있으며
그렇기에 노산일 경우 다양한
검사를 추가로 진행하게 되죠.
하지만 확률로만 놓고 본다면
가능성은 높아질 수 있지만,
퇴행성 자폐가 유전 연관성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노산이라
하여서 무조건 퇴행성 자폐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라고 보는 것이 맞아요.
자폐는 유전적 요인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노산일
경우에는 발생 확률이 조금 더
높다고 보면 돼요. 이유는 염색체
이상이나 다운증후군 가능성도
올라가기 때문이죠.
그렇다고 손놓고 볼 수 있는 문제는
아니기에 노산이라고 한다면 먼저
산모의 건강을 챙기는 게 필요해요.
나이가 들면 원하지 않아도 다양한
질환을 가지게 되는데, 그중 당뇨
또는 고혈압 등 성인병이 있다면
태아에게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기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하죠.
[ 예방법은 ]
연구 결과로 밝혀진 부분은
아니지만, 건강한 아이를 출산
하려면 먼저 산모의 건강이 제일
중요해요. 특히 늦은 나이에
아이를 계획한다면 꾸준한 운동은
물론이고 건강한 식단까지 챙겨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죠.
그리고 태아가 생긴다면 임사부는
아이가 자랄 때 필요한 영양분들
영양제로 많이 챙기기도 하는데요,
엽산이나 철분제 또는 비타민D를
꾸준히 챙기는 것이 중요하고,
산전 검사나 임신 중 검사도
빠짐없이 받는 것이 좋아요.
마지막으로는 아이가 태어나
성장하는 과정 동안 받아야 할
자극이나 알아야 할 언어나 소통
상호작용 등을 꾸준히 알려주고
자극해 주며 키워 나가는 것이
중요한데요, 우리 아이게에 이런
문제가 언제 생기지는 않을까
매일 노심초사 하기 보다는
엄마 아빠의 몸과 마음 그리고
내면이 단단하고 튼튼하다면
우리 아이들도 그 누구보다
건강한 아이로 자랄 수 있으니
항상 사랑과 관심으로 지켜봐
주세요.
'육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사시 눈 시력과의 관계 (0) | 2025.04.06 |
---|---|
우량아란 과체중과 평균 성장 발달의 차이 (0) | 2025.04.05 |
신생아 원더윅스 급성장 시기 대처 방법은 (0) | 2025.04.02 |
범보의자 사용시기 혼자 앉는 연습 방법 (0) | 2025.04.01 |
아기 하이체어 언제부터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을까 (0) | 2025.03.31 |